엔지니어링이 지루해진 이유

2025. 10. 7.

AI로 생산량이 늘어난 지금, 엔지니어링이 왜 이렇게 재미없어졌을까? 요즘 자주 생각하게 된다.

나는 엔지니어링 매니저이면서 동시에, 계속 플레이어이기도 했다. 사람들과 조율하고 요구사항을 조율하는 '화이트칼라적 행동'과, 손끝을 움직여 코드를 작성하는 '블루칼라적 행동'을 했다, 두 가지를 오가며 일했다.

저에게 있어서 엔지니어링의 매력은, 바로 그 '신체성'에 있었던 것 같다. 내 손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내 머리로 고안해내는 것. 그 안에는 창의력과 버릇, 그리고 '끼'가 있었다.

영어를 말할 때 일본어 억양이 나오듯이, 내 코드에도 '마츠자키 사투리'가 있었다. 그것을 보고 '이 사람이 쓰는 코드, 맛이 있구나'라고 말해 주는 사람도 있었다. 그것이 나에게는 기쁨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AI 시대, 대부분의 코드는 프롬프트로 생성된다. 내가 말하고 AI가 쓴다. 마치 공장의 라인 작업자처럼, 사양을 주입하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만 하면 되는 작업.

어느새 나는 **생산자가 아닌 생산자가 되어 있었다.**더 이상 '만드는' 것이 아니라 더 이상 '만드는' 것이 아니라 '내놓게 하는' 사람이 되어 있었다.

물론 반론도 이해한다. "엔지니어의 본질은 의사결정에 있다." "AI가 결정할 수 없는 영역을 담당하는 것이 인간의 역할이다"라고. 물론 그렇다. 하지만 우리가 오랫동안 누려온 '공예적 즐거움'은 확실히 사라졌다, "손으로 만드는 즐거움"은 확실히 사라졌다.

AI가 90%의 작업을 담당하는 지금, 인간은 더 높은 레이어로 올라갈 수밖에 없다. 의사결정을 하고, 맥락을 연결하고, 전체를 설계한다. 그것이 앞으로의 엔지니어의 모습일 것이다.

하지만 -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가 뒤섞여 있었다,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가 섞여 있던 그 "하늘색 시대"의 즐거움은 더 이상 돌아오지 않는다.

그 시절의 엔지니어링은, 마치 수작업 같았다. 조금 어설프지만 내 손의 흔적이 남아있었다. 그 흔적이 아름다웠다.

지금의 AI 코드에는, 속도와 정확성은 있지만 **맛이 없다.**.

엔지니어링이 재미없어진 이유는, 분명 '효율화'가 아니라 '인간적인 납'을 잃어버렸기 때문일 것이다.

English · 日本語 · 中文 · 한국어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Italiano · Português · Português (Brasil) · Nederlands · Русский · Türkçe · Bahasa Indonesia · Polski · Ελληνικά · Български · Čeština · Dansk · Eesti · Suomi · Magyar · Lietuvių · Latviešu · Norsk Bokmål · Română · Slovenčina · Slovenščina · Svenska · Українська

← 에세이로 돌아가기